초보 개발자의 기록

변수의 기본형(Primitive type) 본문

JAVA/Basic

변수의 기본형(Primitive type)

bambinodeveloper 2021. 8. 2. 22:02
728x90

1. 논리형 (boolean)

- true 와 false 중 하나 저장 가능 . 

- 기본값은 false

- 대답/ 스위치 등의 논리구현에 주로 사용

- 1bit만으로 충분하지만 자바의 데이터 최소단위가 byte 이기 때문에 1byte

 

2. 문자형 (char)

-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

- char 타입의 변수는 단 하나의 문자만을 저장할 수 있음

- 문자의 유니코드(정수) 가 저장되는 것임

  문자의 유니코드를 알기 위해서는 char형 변수에 저장된 값을 정수형(int) 로 변환

  int unicode = (int) ch;  //ch에 저장된 값을 int차입으로 변환하여 저장

- char타입에 저장되는 유니코드는 모두 양수(0포함)

 

3. 정수형(byte, short, int, long)

- 4개의 자료형이 있음

- 각 자료형이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서로 다름

  byte < short < int< long

- 기본 자료형은 int

- 정수형의 선택기준 : byte, short보다는 int로 (연산시 범위를 넘어서 결과 오류가 잦음)

- byte, short는 성능ㅂ다는 저장공간을 절약할 때 사용

 

4. 실수형(float, double)

- 실수형에서 오버플루아가 발생하면 변수의 값은 무한대(infinity)

- 언더플로우 존재 : 변수의 값은 0 이 됨

- 기본 자료형은 double

- 7자리 이상의 정밀도가 필요하다면, 변수의 타입 double.

- double타입의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는 대부분 저장하려는 값의 범위가 아니라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기 떄문

 

728x90
반응형

'JAVA > Bas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etter , Setter  (0) 2021.08.05
연산자(Operator)  (0) 2021.08.02
JVM 메모리 구조  (0) 2021.08.02
변수의 타입  (0) 2021.08.02
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(constructor)  (0) 2021.08.02